김진목병원장이 제안하는 암치유비법에 관한 스페샬 정보가 서비스됩니다.
김진목병원장의 암 치유비법 - SMART
과학적으로 근거가 확립된 방법들을 선택해서 고안한 스마트암치료법은 3기와 4기 암 환자분들에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는 프로그램 입니다. 현대의학과 통합의학은 암을 바라보는 관점이 서로 다릅니다. 현대의학에서는 암이 유전적인 원인으로 알고 발암인자나 성장인자를 찾아서 그 유전적 요인을 차단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수술이나 방사선치료로 직접적으로 암 종괴의 크기를 줄인 후에 항암치료나 표적치료를 합니다. 그러나 통합의학에서는 암을 유전적 요소가 있기도 하지만, 고혈압이나 당뇨병처럼 대사질환적 성격을 더 많이 갖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암세포가 생기고 자랄 수밖에 없었던 암세포 주변의 미세환경을 중요합니다. 미세환경은 주로 산소농도나 산성도 등으로 이런 환경을 좌우하는 것은 식사, 운동 등 생활습관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통합의학적치료를 해야 합니다. SMART는 spirit 마음, meal 먹거리, activity 육체적 활동, reset 리셋입니다.
김진목병원장의 암 치유비법 - HEART
암 치유비법 명칭 HEART는 마음이 중요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중요한 사항들의 영단어 첫 글자를 따서 명명한 HEART를 해석하면 H는 happiness, 행복입니다. E는 eating, 먹는다. 먹거리를 뜻합니다. A는 activity입니다. physical activity, 즉 활동입니다. 다음 R은 removal, 제거한다는 뜻입니다. 우리 몸속에 있는 독소 등을 제거한다는 의미입니다. T는 temperature, 온도입니다. 몸의 온도를 올리면 면역력이 올라간다는 이야기에서 온 것입니다. 김진목의 암 치유비법 HEART는 이런 의미들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는 단백질을 좋은 영양소라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실험에서처럼 단백질, 특히 동물성 단백질은 암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가 이미 수십 편 넘게 발표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왜 채식을 고집할까요? 육식의 문제점이 무엇일까요? 육식의 문제점은 화학물질에 오염되어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2차 대전 이후로 석유화학공업이 급속도로 발전하였고, 화학물질의 생산량이 비약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따라서 1980년을 기점으로 본다면 그 전후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화학물질의 생산량에 큰 차이가 납니다.
과거에는 먹거리를 생각할 때 영양성분만 신경 쓰면 되었지만, 이제는 화학물질의 오염에 대해서 신경 쓰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얘기를 조금 바꿔서 간암에 대해 얘기하겠습니다. 6.25 전쟁 때 한국은 미국으로부터 밀가루를 원조받았습니다. 그런데 2차 대전 때 필리핀은 무엇을 원조받았을까요? 바로 땅콩입니다.
땅콩 속에 어떤 영양성분이 많을까요? 콩류이므로 지방이 있지만, 단백질도 많습니다. 단백질은 몸에 좋은 영양소입니다.
땅콩에는 몸에 좋은 단백질이 풍부하며 값도 쌉니다. 게다가 유통과정에서 별로 상하지도 않으니 원조를 주기에는 아주 적합했을 겁니다.
그래서 필리핀 사람들은 2차 대전 동안 땅콩이 주식이었습니다. 땅콩으로 밥을 해 먹었습니다. 그런데 2차 대전이 끝난 뒤에 필리핀에서 간암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전 세계 과학자들은 뜨거운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했습니다.
연구에서 땅콩이 곰팡이가 슬면 아플라톡신이라는 독소가 생성되는데, 이 아플로톡신이 간암의 발암인자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즉, 콩류에 곰팡이가 슬어 생성되는 아플라톡신은 간암을 초래합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먹는 된장은 콩을 발효시킨 것입니다. 그럼 아플라톡신이 없을까요? 있습니다. 그렇지만 염분이 가해지면 아플라톡신의 활성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된장을 만들 때 소금을 많이 넣어서 괜찮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염분 섭취가 많아져서 문제이고, 100% 해독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채식을 많이 하는데도 간암 환자가 많은 편이 아닐까 전문가들은 추측하고 있습니다.
어쨌든 아플라톡신에 의해서 간암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어른들뿐 아니라 아이들도 간암에 걸렸습니다. 더 놀라운 사실은 부잣집 아이들은 많이 걸렸는데, 가난한 집 아이들은 걸리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이상하죠?
부잣집 아이들이 위생 상태나 영양 상태가 좋기에 일반적인 질병 유병률이 낮아야 정상인데, 결과는 오히려 반대로 나왔습니다. 과학자들은 여러 가지 변수를 놓고 역학조사를 해봤습니다. 수십 가지 요인을 분석해봤지만, 아무 가능성도 없었습니다.
딱 한 가지가 인과관계에 딱 맞아떨어졌는데, 그것은 바로 우유의 섭취량이었습니다. 부잣집 아이들은 우유를 많이 마셨고, 가난한 집 아이들은 우유를 마시지 못했습니다. 우유 섭취량과 간암 발생률이 정확히 비례했다는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역학조사 결과를 놓고 공황 상태에 빠졌습니다. 건강에 좋은 우유를 많이 먹은 아이들에게서 간암이 많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과학자들 스스로 믿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실험해보기로 했습니다. 쥐에게 아플라톡신을 계속 먹이면 횟수가 거듭되면서 간암 발생률이 증가합니다. 그런데 이 쥐들에게 우유 단백질인 카제인을 20% 주다가 5%로 줄였더니 간암 발생률이 뚝 떨어졌습니다.
다시 카제인을 20%로 올려주면 원래의 발생률을 나타냈고, 줄이면 다시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카제인을 처음부터 100주 동안 5%로 먹은 쥐들은 아무도 간암에 안 걸렸고 계속 살았습니다. 반면 20%로 계속 먹인 쥐들은 전부 간암에 걸려서 100% 사망했습니다.
이 실험 결과, 아플라톡신이 간암의 발암인자인 것은 맞지만 결정적으로 간암을 초래하는 것은 우유의 단백질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단백질을 좋은 영양소라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실험에서처럼 단백질, 특히 동물성 단백질은 암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가 이미 수십 편 넘게 발표되어 있습니다.
우유, 동물성 단백질이 암을 촉진하고 식물성 단백질은 오히려 암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